-
1.
- 산간지역 농민의 농업생산체계와 신기술 조정 . -2000B 배영동
- 배영동, 영남대학교 대학원, [2001]
-
2.
- 산골마을 사람들의 산나물 채취와 식용의 전승지식 : 경북 안동시 풍산읍 서미1리를 중심으로 = Mountain Villagers' Knowledge about the Edibility of Picking Edible Wild Greens and the Edibility of Wild Greens : Focusing on Gyeongbuk Pungsan-eup Seomi-ri
- 박선미, 안동대학교 대학원, [2009]
-
3.
- 혼례복 착용 양상으로 본 혼례의 의미 변화 = A Change of Meaning for Wedding Ceremony Viewed from the Trend of Wedding Outfits
- 김소영,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0]
-
4.
- 옹기 제작 전통의 선택적 실천 : 경기지역 3개 옹기공방을 중심으로 = The selective practice of onggi- Focusing on three onggi workshops located in Gyeonggi area
- 이한승, 안동대학교, [2018]
-
5.
- 음식디미방 수록 음식의 선택적 재현과 관광자원화 = Selective Reproduction and Tourism of the Food from "Eumsikdimibang“
- 심지윤,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1]
-
6.
- '안동문화지킴이'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의 문화실천적 의의와 과제 = The Significance and Tasks of Cultural Practice in the Cultural Heritages Protection Activity of ‘Guardians for Andong Culture’
- 김민기,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1]
-
7.
- 볏짚제품 만들기 전통의 현대적 활용과 의미 : 문경시 문경읍 고요1리의 사례를 중심으로 = The Current Utilization and Meaning of Tradition of Producing Rice Straw Products: Focused on the Case of Goyo li Moon-Gyeoung Eub Moon-Gyeoung Si
- 엄정웅, 안동대학교, [2013]
-
8.
- 수의(壽衣) 마련 풍속의 전승양상 - 안동시 임하면 고곡마을을 중심으로 - = Succession of Custom of Shroud Preparation - Focusing on Gogok Village, Imha-myeon, Andong-si -
- 박민희, 안동대학교, [2011]
-
9.
- 20세기 농촌 가양주 제조의 실상과 국가적 통제에 대한 대응 : 안동시 풍산읍 매곡2리의 사례를 중심으로 = The Status of Home-Brewed Liquor Making in Farm Areas and Response toward State Control during the 20th Century [: Focusing on the Case Example of Maegok 2-ri, Pungsan-eup, Andong-si]
- 최유정, 안동대학교, [2018]
-
10.
- 통영지역 목가구 제작기술의 전승과 변화 = The change and inheritance of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of the Korean wooden furniture in the region of Tongyeong
- 성윤석, 안동대학교, [200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