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유방암 환자에서 Ki-67 발현의 임상적 의의 = Clinical significance of Ki-67 expression in breast cancer patient
- 김관일, 고려대학교 대학원, [2015]
-
2.
- The functions of HSP90 inhibitor for overcoming the lapatinib resistance in HER2 overexpressing breast cancer cell line = HER2 과발현 유방암 세포주에 투입된 lapatinib의 내성 극복을 위한 HSP90 저해제의 역할
- 신승호, 고려대학교 대학원, [2014]
-
3.
- 쥐에서 90% 부분 간절제술 후 특정 약물이 잔존간의 재생 및 생존율에 미치는 효과
- 지웅배, 고려대학교 대학원, [2013]
-
4.
- The roles of secreted type I collagen derived from stromal cell on the breast cancer cell line
- 김성훈, 고려대학교 대학원, [2012]
-
5.
- Effect of antiadhesion barrier solution and fibrin on capsular formation after Silicone implant insertion in a white rat model.
- 이승근, 고려대학교 대학원, [2014]
-
6.
- The relationship of hypermethylation of CDH1 and RASSF1α gene between primary breast cancer and metastatic tumor in axillary lymph node
- 정승필, 고려대학교 대학원, [2012]
-
7.
- 腫瘍줄기細胞가 存在하는 乳房癌 患者의 抗癌劑 感受性 評價
- 홍종현, 고려대학교 대학원, [2011]
-
8.
- 삼중음성 유방암의 특성과 치료적 선택
- 임라주, 고려대학교 대학원, [2011]
-
9.
- Prognostic implications of microRNA-21 overexpression in invasive ductal carcinoma of the breast
- 이정아, 고려대학교 대학원, [2011]
-
10.
- Study for prognostic factors of triple-negative breast cancer in T1-2 and node negative patients
- 유지영, 고려대학교 대학원, [2011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