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=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Dys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Adolescents
- 오인경, 목포대학교 대학원, [2018]
-
2.
- 학교체계요인이 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과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 = Effects of School System Factors on School Violence Experience and School Violence Attitude
- 한승희, 목포대학교 대학원, [2015]
-
3.
- 청소년의 코로나 스트레스와 정신적웰빙의 관계에서 지각된 부모지지의 매개효과 =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Support Percevied by Adolescen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 19 Stress and Mental Well-being
- 조영례, 목포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4.
- 그룹홈 청소년과 시설 청소년의 부정적 사건경험과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애착의 매개효과 = The Mediating Effects of Attach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 Home and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’ Negative Life Events and Problem Behavior
- 조미영, 목포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5.
-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갈등과 부적응 행동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과 = The Mediating Effects of Irrational Belief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onflict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Maladjustment Behavior
- 양수향, 목포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6.
- 청소년의 불안정 애착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: 정서조절 곤란과 대인관계 문제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
- 김태휴, 국립목포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7.
-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진로성숙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조절효과 =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’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Career Maturity: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-Directed Learning Ability
- 정지웅, 목포대학교 대학원, [2018]
-
8.
- 대학생의 자기노출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외로움의 매개효과 = The Mediating Effects of Loneli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dergraduate Students' Self-Disclosure and SNS Addiction Proneness
- 채종민, 목포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9.
- 청소년의 여가활동참여가 스트레스 해소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= Effect of Leisure Participation of Adolescent to Stress Relief and School Adjustment
- 김수진, 목포대학교 대학원, [2015]
-
10.
- 대학생의 SNS 이용동기, SNS 과다사용, 삶의 만족도 연구 : 성별을 중심으로 = Gender Differences in Motives for using SNS, SNS Overuse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
- 문정환, 목포대학교 대학원, [2020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