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프로파간다 성향의 포토저널리즘에서 스투디움과 푼크툼에 관한 연구 : 한국 언론에 게재된 로동신문 포토저널리즘에 대한 질적 분석을 중심으로
- 김기주,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2]
-
2.
- 온라인 신문의 공공저널리즘 가능성에 관한 연구
- 신윤호, 중앙대학교 대학원, [2003]
-
3.
- 뉴스 플랫폼으로서의 페이스북과 유튜브 비교 연구 : 행위자-연결망 이론과 의미 연결망 분석 적용
- 전상현, 경희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4.
- 군(軍) 소셜미디어 비주얼콘텐츠 특성에 따른 홍보효과 연구 : 육군 페이스북 비주얼콘텐츠와 이용자 반응 사례 실증분석을 중심으로(2018 ~2019)
- 김종현,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3]
-
5.
- 한국 신문의 북리뷰에 관한 연구 = (A) study on the book reviews of Korean newspapers
- 김진아,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, [2004]
-
6.
- 신문매체의 <북섹션> 기사의 유형과 의미에 관한 연구 : 조선일보, 한겨레신문, 한국일보의 북섹션을 중심으로
- 정윤희, 성균관대학교, [2008]
-
7.
- 브랜드 저널리즘이 이용자의 인게이지먼트와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: 삼성 뉴스룸 사례를 중심으로
- 김지수, 홍익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8.
- 저널리즘의 `사실성` 개념 형성과 의미 : 리얼리즘과 자연주의 문예사조의 영향 = The Concept Formation and the Meanings of Journalistic `Factuality`: the Impact of Realism and Naturalism
- 이충환, 한양대학교 대학원, [2007]
-
9.
- PD저널리즘 프로그램의 방송 소재에 관한 연구 : KBS '추적 60분', SBS '그것이 알고 싶다', MBC 'PD수첩'을 중심으로
- 권기만, 강원대학교 대학원, [2011]
-
10.
- 1920~30년대 한국소설과 저널리즘의 상관성 연구 =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Korean novel and Journalism in 1920s and 1930s
- 박정희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1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