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1,911건 중 1,000건 출력
,1/100페이지
-
1.
- 과학·기술·사회(STS) 교육 관점에서의 고등학교 사회문화 교과서 고찰
- 김민경,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0]
-
2.
- 초등학생의 과학관련 사회적 쟁점에 관한 의사결정에 나타난 추론 유형과 자료에 대한 반응 특성 = Elementary students’ decision making on socioscientific issue : Patterns of reasoning and responses to anomalous data
- 이화연,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[2015]
-
3.
- 한국 대학 과학자사회의 계층화 요인 연구 : 생산성과 임용률 차이를 중심으로 = Determinants of stratification in Korean academic scientific community
- 김명심, 경희대학교, [2008]
-
4.
- 중년여성의 정신건강 및 신체건강 향상을 위한 TSL 프로그램 효과 : 뇌생명사회과학적 검증
- 송향주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12]
-
5.
- 경제학의 제도화에 대한 과학사회학적 연구 : 한계주의자들(marginalists)의 자율적 장(場) 형성을 중심으로 = (A) Sociological Study on Institutionalization of Economics : Mainly on the marginalists' formation of autonomous field
- 이창원, 서강대학교 대학원, [2001]
-
6.
- 마르크스와 뒤르케임의 사회과학방법론 연구 : 『자본론』과 『자살론』의 설명적 비판을 중심으로
- 김명희, 성공회대학교 대학원, [2014]
-
7.
- 공공 쟁점 시리즈를 활용한 「사회」·「과학」통합 수업의 구성과 실천 =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'Social Studies'-'Science' Integrated Lessons Using the Public Issues Series
- 이정현,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[2017]
-
8.
- 공통수학 수업을 통해서 나타난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과학-기술-사회(STS)에 대한 인식도 변화
- 도은경,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[1997]
-
9.
- 과학적 推論인가? 사회적 推論인가? : '수돗물 불소화 논쟁'에 관한 사례연구 = IS IT SCIENTIFIC REASONING? OR SOCIAL REASONING? : A Case Study of 'Water Fluoridation'
- 박영조, 서강대학교 대학원, [2000]
-
10.
- 社會科學方法論의 主要 爭點에 관한 硏究 : 「老莊」과「禪」사상의 接近視覺과 관련하여 = (A) study of main issues in social science methodology : in relation to approach in Lao-Chung(老莊) and Zen(禪) thought
- 양서진, 전남대학교 대학원, [199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