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61건 중 261건 출력
,1/27페이지
-
1.
- 「日本書紀」의 편찬과 백제 관련 문헌 연구 =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Compilation of "Ilbonsoki" and Historical Records of Baekje
- 박재용,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[2009]
-
2.
- 중국 우슈의 장권(長拳), 남권(南拳)과 태권도(跆拳道)의 특성 및 기술 비교분석 = Comparativ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& technology of changquan, nanquan in Chinese wushu and taekwondo
- 왕자인, 용인대학교, [2019]
-
3.
- 4∼5세기 高句麗와 倭의 外交的 交涉에 대한 연구 : 『日本書紀』應神·仁德紀를 중심으로
- 김인홍, 단국대학교 대학원, [2010]
-
4.
- 고본(古本) 『죽서기년(竹書紀年)』 성격 분석 : 『수경주(水經注)』 인용조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textual features of gǔběn Zhúshū Jìnián(the ancient text of The Bamboo Annals) with a reference of Shuijingzhu(The Commentary of Water Classic)
- 김용빈, 서강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5.
- 임신서기석의 교육사적 의의 : 신라 청년의 유학 학습기 = The Significance of the Oath Stone Scriptured in the Year of Imsin in Relation to History of Education
- 소미준,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3]
-
6.
- 한 발 서기 시 지지면의 변화에 따른 우세발과 비우세발의 균형과 근 활성도 비교 = Comparison of balance and muscle activity on the dominant and non-dominant foot according to the change of support surface in one-leg standing
- 이다솔,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0]
-
7.
- 유라시아 가스관의 정치경제와 남·북·러 가스관 프로젝트 : 정책적 함의
- 이문희, 북한대학원대학교, [2015]
-
8.
- 熊津~泗沘初 百濟의 南朝文化 受用 硏究
- 장수남, 延世大學校 大學院, [2013]
-
9.
- 『古事記』및『日本書紀』에 나타난 바다와 미소기(禊)
- 박신영, 경희대학교 대학원, [2017]
-
10.
- 일본 상대 문헌에 나타난 수목(樹・木)관(観) : 『고사기』 『일본서기』전승을 중심으로
- 김미선, 경희대학교 대학원, [2020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