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AIDT 도입 대비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초등교원 디지털 역량 진단: 중요도-수행도(IPA) 분석 = Assessment of Digital Competency for Elementary Teachers in Gangwon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AIDT Implementation: An Importance-Performance Analysis (IPA)
- 김요셉,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4]
-
2.
- 대수적 사고 함양을 위한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학습 튜터 개발 및 검증 =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Large Language Model-Based AI Tutor for Fostering Algebraic Thinking
- 남궁연,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4]
-
3.
- 웹 자원기반 탐구학습의 학업성취 및 탐구능력신장 효과 연구 = (The) effects of scholastic achievement and inquiry ability enhancement of web resources based inquiry learning
- 장석만,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3]
-
4.
- 기업교육공학 방안으로서의 실천학습 문제해결 촉진자의 실행 단계 및 단계별 역량 규명 = Examination of set adviser's competency by each action learning stage for the intervention of technology of corporate education and development
- 김현덕,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4]
-
5.
- 디지털 교과서 수용 연구
- 윤한기,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1]
-
6.
- 정보윤리 강사교육에서 개인의 배경 특성이 교육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
- 박종선,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7]
-
7.
- AI교육 정착을 위한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 및 AI교육 관련 인식조사 = Study on Smart Device-based Teaching & Learning and AI Education for the Stable Institutionalization
- 최을용,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3]
-
8.
- 학습자요인이 ICT소양교육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= Influence Analysis of Learner Factor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ICT Literacy Education
- 신진동,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9]
-
9.
- 초등학생의 성격유형이 웹기반 교육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= Effects on the web-based instruction achievement in term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' psychological types
- 김병업,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5]
-
10.
- 초등교사의 AI 디지털교과서 사용의도 및 인식 분석 = Analysis on Elementary Teachers' Behavioral Intention to Use about AI Digital Textbook
- 이해미,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