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<전지적 독자 시점>에 드러난 웹소설 독자 연구 = 《全知讀者視角》裡的網路小說讀者?究
- 염선호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2.
- 2000년대 이후 '파국의 상상력' 한일 비교연구 = 'Catastrophic Imagination' after 2000s : A Comparative Study of Japan and Korea
- 고마쓰다 요시히로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3.
- 20세기 초 한·중·일 가족사소설 비교사(比較史) 연구 : 『이에(家)』, 『삼대(三代)』, 『쟈(家)』를 중심으로
- 권미, 서울대학교, [2016]
-
4.
- 커머닝으로서의 문학 : - 문학의 정치성과 공통성을 중심으로 - = Literature as Commoning : On the Politics and Commonality of Literature
- 이민주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5.
- '불청객'으로서의 제국의 귀환자 : 중리허와 김만선의 작품을 중심으로 = Returning as an Uninvited Guest: The Dynamics of Exclusion in Zhong Lihe and Kim Man?n's Return Narratives
- 정인혜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6.
- 오스카 와일드와 이효석의 댄디즘 연구 : 미적 자기 창조의 정치성 = A Study of Oscar Wilde and Lee Hyo-seok's Dandyism : The Politics of Aesthetic Self-Fashioning
- 이유경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7.
- 현대 동아시아 여성 작가의 서사에 나타난 집의 의미와 여성 주체의 양상 연구 : 박완서, 왕안이, 양귀자, 츠리, 리쯔수, 유미리를 중심으로 = The Meaning of Home and the Varying Aspects of Female Subjectivity in Narratives by Modern East Asian Female Writers: Focusing on Park Wan-suh, Wang Anyi, Yang Gwija, Chi Li, Li Zishu and Yu Miri
- 권리나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8.
- 수영 생활체육 참여정도에 따른 여가만족도에 관한 연구 = The Study on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Swimming Sports for all
- 서영채,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4]
-
9.
- 〈무정〉연구
- 서영채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1992]
-
10.
- 韓國 近代小說에 나타난 사랑의 樣相과 意味에 관한 硏究 : 이광수, 염상섭, 이상을 중심으로 = The grammar of love: Yi Kwangsu, Yom Sangsop, and Yi Sang
- 서영채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02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