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영화배우의 인상학적 이미지 분석에 따른 캐릭터 이미지와 스타일 연구 : 영화배우 4인(송강호, 설경구, 전도연, 문소리)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Character Image and Style Based on Analysis of Physiognomical Image of Movie Actors
- 강은미, 서경대학교 대학원, [2010]
-
2.
- 공연과 영상 매체를 통한 배우의 이미지 창조에 관한 분석 : 최민식, 설경구, 김석훈을 중심으로
- 김석훈,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, [2008]
-
3.
- '성격 구축의 퍼스펙티브'를 통한 영화연기의 불연속성 극복 연구 : 한국 영화배우들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
- 김수연,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, [2011]
-
4.
- 한국영화 연기의 사실적인 특성 연구 : 2000년 이후 한국영화를 중심으로
- 이아영,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, [2018]
-
5.
- 영화 '역도산' 제작 보고서 : 프로듀서로서의 접근
- 김선아,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, [2006]
-
6.
- 社會主義市場經濟體制下政府市場的制度結合模式硏究 : 以中國上市公司爲例
- 權世振, 北京大學, [2002]
-
7.
- 스타급 배우·감독의 인적네트워크가 흥행에 미치는 영향 : 1998-2007 한국영화를 중심으로 = The korean stardom actors & directors human network analysis for box-office record 1998-2007
- 류설리, 강원대학교 대학원, [2009]
-
8.
- 영화 '초록 물고기'와 '박하사탕'의 시간과 공간의 의미 : 서사 분석을 통하여
- 박경희, 이화여자대학교, [2000]
-
9.
- 포토샵을 활용한 디지털 분장 사례 연구
- 윤은재, 건신대학원대학교, [2016]
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