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36건 중 436건 출력
,1/44페이지
-
1.
- 세시풍속서를 통한 중국 창장 유역 음식 문화 연구 : 『荆楚岁时记(형초세시기)』, 『岁华纪丽谱(세화기려보)』, 『熙朝乐事(희조락사)』 중심으로 = A Study on Chinese Yangtze River valley food culture through seasonal customs literature texts : focused on Hyeongchosesigi, Sehwagiryeobo and Hoejoraksa
- 양쓰천, 호서대학교, [2018]
-
2.
- 초등 사회과에서 세시풍속 교육을 위한 교재 재구성 및 적용 = (The) Reorganization and application of teaching materials for seasonal folk custom education in elementary social science
- 이윤영,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8]
-
3.
- 한·중 세시풍속 비교 연구 : "4대 명절"을 중심으로
- 탕훙, 영남대학교, [2014]
-
4.
- 세시풍속 창작 동시의 문화적 활용
- 강순예,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예술대학원, [2016]
-
5.
- 신라 세시풍속의 양상과 문화적 특징
- 김영준, 인하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6.
- 세시풍속을 활용한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국가정체성과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
- 최별녀,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, [2018]
-
7.
- 한중세시풍속비교연구 : 여강
- 여강, 한서대학교 대학원, [2015]
-
8.
- 韓國 歲時風俗의 변화와 文化콘텐츠화 硏究 = (A) study on the charge of the annual cyclic rites in Korea
- 최명림, 전남대학교 대학원, [2003]
-
9.
- 세시풍속 교육의 요구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= A Study on Revitalization Methods of Traditional Customs Education through Analyzing Demand Characteristics
- 김종연(金鍾蓮),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6]
-
10.
- 세시풍속을 활용한 박물관 가족교육프로그램 발전 방안 연구 : 국립민속박물관을 중심으로
- 김유선,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, [201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