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6·25전쟁 중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 변화에 관한 연구 : 전쟁수행정책 수립과정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evolution of U.S. National Security Council during the Korean War : focusing on decision-making process
- 윤현진, 국방대학교, [2019]
-
2.
- 6·25전쟁과 유엔군 형성에 대한 연구:육군을 중심으로
- 김은혜,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, [2017]
-
3.
- 6ㆍ25전쟁 초기 미국 극동공군의 작전이 북한의 군수산업과 군수물자 수송에 미친 영향 연구
- 신정헌,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, [2014]
-
4.
- 다국적군과 ISIS의 모술전투 분석 = A study on the battle of Mosul between the coalition force and ISIS
- 김익규, 국방대학교, [2020]
-
5.
- 6·25전쟁 정전회담 시기 참모장교 회의의 역할에 관한 연구 : 정전감시 관련 의제(제3 의제)를 중심으로 (1951년 11월 27일 ~ 1952년 4월 2일) = A Study on the Role of Meeting of Staff Officers in the Korean War Armistice Conference
- 김정훈,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, [2023]
-
6.
- 6·25전쟁 정전협상 시기 유엔군 사령관의 역할과 한계에 관한 연구 : 리지웨이의 임무 수행 시기를 중심으로 (1951년 7월 10일〜 1952년 5월 12일) = A Study on the Role and Limitations of CINCUNC(Commander in Chief, United Nations Command) in the Korean War Armistice Negotiations : Focusing on the Period of Ridgway's duty(10 July 1951 〜 12 May)
- 강지현,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, [2024]
-
7.
- 6·25전쟁 중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 변화에 대한 연구 :전쟁수행정책 수립과정을 중심으로
- 윤현진,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, [2018]
-
8.
- 6·25전쟁 초기 동해안 지역 전투와 낙동강 방어선 전투에 관한 새로운 고찰
- 최호재,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, [2020]
-
9.
- 6·25전쟁기 국군의 후방지역 작전에 관한 연구 : 반격작전기에서 전선고착기까지 = A Study on Rear Area Operations of the ROK Army during the Korean War
- 박수영,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, [2021]
-
10.
- 군사적 효율성을 중심으로 본 한국군 포병과 베트남전쟁 = A Study on the Military Effectiveness of the ROK Artillery in the Vietnam War
- 조남준,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, [2021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