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사회문제해결형 ESD 수업모델의 수업적용 및 개선방안 : 그룹탐구모형과 배려모형 적용 수업모델을 중심으로
- 강현선,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5]
-
2.
- ACE-Asia 기간 중 2001년과 2002년 제주도 고산에서 채취한 대기 입자상 물질의 특성분석 = Single particle Characterization of Aerosol particles Collected at Jeju Island, Korea, during
- 안용훈, 翰林大學校 大學院, [2005]
-
3.
- 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(ESD)의 통합을 위한 Science-ESD 수업모델 개발
- 이한용,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8]
-
4.
- 과학적 대칭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
- 배경석, 단국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5.
- 예비 환경 교사 교육 실습 경험의 내용과 의미 = The Contents and Meaning of Pre-service Environmental Teachers’ Practicum Experience
- 남윤희,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[2013]
-
6.
- 과학수업에서 적용가능한 Lakatos의 갈등도 개발과 적용
- 오준영, 단국대학교 대학원, [2014]
-
7.
- 예비과학교사의 통합과학교육 수업 설계와 실행에서 나타난 수업비평과 성찰의 특징 분석
- 김지현, 단국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8.
- 게임화 수업전문성 함양을 위한 예비 과학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실행 분석
- 문예진, 단국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9.
-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중등학교 화학 내용 비교 및 계속성에 관한 연구
- 안미경, 단국대학교 대학원, [2013]
-
10.
- SnO₂-Graphene, ZrO₂, SSC 복합체의 응용성 : 광촉매, 인장력, 항균성을 중심으로
- 추교찬, 단국대학교 대학원, [2019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