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한반도 태풍영향 전·중·후 시기동안 대기질에 영향을 주는 기상특성 분석
- 신현진,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7]
-
2.
- 한반도 서해안 안개예측을 위한 3차원 변분자료동화 및 분석넛징 효과 분석 = Effects of data assimilation by 3DVAR with analysis nudging for fog prediction in the 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
- 박형식, 濟州大學校, [2020]
-
3.
- 기상-대기질 온라인 결합모델을 이용한 남한지역 대기환경에 미치는 에어로졸 피드백 효과 = Effect of aerosol feedback on the atmospheric environment over South Korea using an online coupled meteorology-air quality model
- 김진승, 제주대학교 대학원, [2025]
-
4.
- 대기-해양 결합모델을 이용한 서해안 지역 국지기상 영향 연구 : 예측성능 평가 및 자료동화 효과
- 이성빈, 濟州大學校 大學院, [2023]
-
5.
- 도시 및 배경 지역에서의 고농도미세먼지(PM2.5) 생성에 대한 국내외 배출량 기여도 분석
- 백주열, 濟州大學校 大學院, [2023]
-
6.
- 한반도 연안해역 해무 관측 및 예측 가이던스 구축에 관한 연구
- 박소희, 제주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7.
- 수치모델링을 활용한 수도권 연무 발생의 기상학적 메커니즘 및 물리·화학적 특성 분석 = Meteorological mechanisms and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for haze occurrenc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numerical modeling
- 한승범, 제주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8.
- 제주도 배경 및 도심지역의 온실가스에 의한 기후환경 변화 연구 : 복사전달모델과 추정식과의 비교
- 이수정,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7]
-
9.
- 제주지역 에어로졸 농도의 시공간적 변화 및 에어로졸 화학성분에 따른 복사강제력 영향 연구
- 박연희,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7]
-
10.
- 기상 및 대기질 모델링을 이용한 인공강우 민감도 분석과 미세먼지 영향 평가 = Sensitivity analysis of artificial rainfall and its effect on particulate matter using meteorological and air quality modeling
- 강채연, 제주대학교 대학원, [202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