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한식문화콘텐츠 선호유형에 따른 한식노출경험이 한식친밀도에 미치는 영향 = A study on how prior exposure to Korean food affects the affinity for Korean food according to preferences in Korean dining cultural content
- 송자인, 淑明女子大學校, [2019]
-
2.
- 한국과 중국의 문헌에 나타난 변비 치료법과 식이요법의 비교
- 역단, 중앙대학교 대학원, [2010]
-
3.
- 밀라노 컬렉션과 서울 컬렉션의 여성복 색채 비교 = A Comparative study of fashion colors between Milano collection and Seoul collection
- 강희정,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, [2011]
-
4.
- 라이브 스트리밍에서 공감 표시 인터랙션 유형과 사용자의 감정 리액션 유형의 차이가 정서적 유대감과 공동의 공간감에 미치는 영향
- 김민지, 홍익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5.
- Continuous transcriptomic spectra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in the primary liver cancer
- 전영식, Graduate School, Yonsei University, [2021]
-
6.
- 放送의 自由와 二元的 放送體系 : 獨逸의 制度를 中心으로
- 곽상진, 漢陽大學校 大學院, [1999]
-
7.
- 5-Aminolevulinic acid overproduction through glutamate flux enhancement of C5 pathway in corynebacterium glutamicum
- 오유리, Graduate School, Korea University, [2018]
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