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제주도 본풀이의 세계관과 에토스 연구
- 전주희, 서강대학교 대학원, [2018]
-
2.
- 설화의 통합적 교수 및 학습 방안 연구 : <장자못 전설> 설화를 중심으로 = A comprehens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: Based on <The Legends on Pond Jangja >
- 손소희,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9]
-
3.
- 무속신화에 나타난 여성 생애의 비극성에 대한 기호학적 연구 = A semiotic study on the tragic character of women's life in the shaman myths
- 양려평, 서강대학교 대학원, [2018]
-
4.
- 천주교 고난 경험 서사 연구
- 윤인선, 서강대학교 대학원, [2015]
-
5.
- 『天倪錄』에 나타난 공포 정서의 서사성 연구
- 박선아, 서강대학교 대학원, [2019]
-
6.
- 노년 여성 결연설화 연구 = Korea Folktales About Elderly Women’s Sexual and Romantic Relationships
- 신송미, 서강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7.
- 스테레오타입의 매체기호학적 연구 : 온라인디지털 텍스트에 나타난‘전업주부’를 중심으로 = A media-semiotic study on stereotypes: a study on Full-time Housewibes decribed in online digital texts
- 윤예영, 서강대학교 대학원, [2019]
-
8.
- 플립러닝을 활용한 설화 스토리텔링 교수 학습 방안 연구 = How to teach folktale: a study of storytelling method using flipped learning
- 김진실,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9]
-
9.
-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설화 교수·학습 방안 연구 : <아기장수 우투리> 설화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teaching method of Fable using storytelling : Focused in the <Baby General Uturi>
- 이휘연,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8]
-
10.
- 제주도 일반신본풀이와 제의의 파토스 담론 연구 = A study on shamanism myth and ritual in Jeju island through Pathos discourse
- 강지연, 서강대학교 대학원, [201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