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조직 구성원의 A형 성격이 직무탈진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: 직무특성의 조절효과
- 이혜린,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8]
-
2.
- 가족 친화적 상사 행동 척도 (FSSB)에 대한 타당화 연구 = A validation study of Family Supportive Supervisor Behaviors(FSSB) scale in South Korea
- 위채현, 아주대학교, [2021]
-
3.
- 직무열의 향상에 있어서 LMX의 역할 : 개인-조직 부합이론을 통한 설명
- 윤성민, 아주대학교, [2015]
-
4.
- 직무열의를 일으키는 조건은 무엇인가? : 사회적 지지와 지각된 향상문화의 역할
- 이선아, 아주대학교, [2019]
-
5.
- 누가, 어떤 리더가 되는가? : HEXACO를 LPA로 분석하여 예측한 리더십
- 임경빈, 아주대학교, [2021]
-
6.
- 개인의 조절초점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: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
- 김지혜, 아주대학교, [2023]
-
7.
-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열의 관계 : 성장욕구강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
- 손명중, 아주대학교, [2016]
-
8.
-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erceived External Prestig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dentification: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-Based Self-Esteem
- Han, Soon Dong, 경희대학교, [2009]
-
9.
- 정서원형모형을 적용한 직무요구-자원모형의 확장 : 직무요구가 일-관련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향상우세초점과 상사-구성원 교환관계의 역할 = Expansion of job demands-resources model by applying the circumplex model of affect: The role of dominant promotion-focus and LMX on the effects of job demands to two-dimensional view of work-related subjective well-being
- 박진우, 아주대학교, [2020]
-
10.
- 직장 내 멀티태스킹 환경이 직원들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: 개인 Polychronicity 성향의 조절효과
- 황재상, 아주대학교, [201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