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설화를 활용한 남성 은퇴자 대상 문학치료 프로그램 개발 연구 =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terary Therapy Program Utilizing Traditional Folktales for Retired Men
- 한수환, 건국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2.
- 현실 차원과 신성 차원을 매개한 한국 무속신화의 구조와 의미 분석 : <바리공주>와 <세경본풀이>를 중심으로 = Structure and Meaning Analysis of Korean Shamanistic Myths Mediating the Real and Sacred Dimensions : Focusing on <Princess Bari> and <Segyeongbonpuri>
- 박시언, 건국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3.
- 사물성의 맥락에서 본 도깨비와 바보 설화 연구 = A research of Tokkaebi and idiot folktales in the context of objectivity
- 손영은, 건국대학교, [2017]
-
4.
- <당금애기>를 통해 본 여성 삶의 원형 연구 : 딸에서 어머니, 어머니신이 되는 과정을 중심으로 = The research of an archetype on women's life by analysing of <Danggeumagi>
- 박성은, 건국대학교, [2013]
-
5.
- 무기력을 호소하는 20대 후반 여성에 대한 문학치료 사례연구 : '어른아이' 서사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= A Case Study of Literature Therapy for a Woman in her Late Twenties Complaining of Lethargy. : Focusing on the Changing Process of the Story-in-depth of ‘Adult Child’
- 최정문, 건국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6.
- <콩쥐팥쥐>를 적용한 교우관계 개선방안 연구 : 디자인씽킹 프로세스를 통한 접근 =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riendship Applying <Kongjwi and Patjwi> : Approach through Design Thinking Process
- 박하늘,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0]
-
7.
- <홍길동전>과 <구운몽>의 유토피아 비교와 교육적 적용 = Comparison and educational application of the utopia in <Hong gildong jeon> and <Guun mong>
- 서수빈, 건국대학교, [2020]
-
8.
- 부정적 부성의 지배하에 있는 여성들의 치유적 자기실현 과정 연구 : 네 편의 독일민담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해석 = A study on the healing self-realization process of women raised under negative fatherhood : an analytical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of four German fairy tales
- 조두례, 건국대학교, [2019]
-
9.
- 구비설화에 나타난 식인 모티프의 양상과 의미 연구 = A study of the aspect and meaning of cannibalism motif in Korean folktales
- 이부희, 건국대학교, [2017]
-
10.
- 한국 구비설화 속 괴물의 양태와 콘텐츠화 전망 = Aspect of Monsters in Korean Folktales and Its Prospects for Developing Contents
- 이승민, 건국대학교 대학원, [2016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