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일본은 수동 국가인가 : 2002년 고이즈미 북한 방문 사례
- 왕첸, 서울대학교, [2016]
-
2.
- 1954년 제네바 정치회담과 한반도 국제관계 : 전후 분단체제의 형성 = The 1954 Geneva Conference and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n the Korean Peninsula: the Formation of the System of Division
- 오정현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3.
- 반공국가의 위기와 민족주의의 부상 : 민주화 이후 한국의 對北정책과 대만의 對中정책에 관한 비교
- 김재영, 서울대학교, [2017]
-
4.
- 제도적 행위이론을 통한 동북아지역 다자협력의 제도화 과정 분석 : 두만강 개발계획의 사례연구
- 김예지, 서울대학교, [2016]
-
5.
- 북한 핵담론의 당론화 과정과 당론강화 동학
- 이중구, 서울대학교, [2016]
-
6.
- 냉전기 재일한인 북송사업의 규모변용 과정에 관한 분석 : 조총련과 북한로비의 역할을 중심으로
- 마츠우라 마사노부, 서울대학교, [2015]
-
7.
- 제30차 유엔총회 북한의 한국문제(Question of Korea) 결의안 통과에 관한 연구 : 북한의 대중·소 교섭 레버리지와 비동맹외교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Passage of the Resolution on the 'Question of Korea' by North Korea at the 30th UN General Assembly
- 최익제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8.
- 분단체제론을 넘어서 사회체계론으로 - 햇볕정책의 '기술'과 '재기술' = Transcending the Korean Division System by Embracing the Social System Theory
- 모리츠 하스틱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18]
-
9.
- 샌프란시스코 대일평화조약과 영국 외무성의 한국영토 견해 변화 = Korean Territory in Flux: Shifting Views of the British Foreign Office in the crafting of the Treaty of Peace with Japan
- 박기범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10.
- 1970 년대 미국 아시아 정책 전환과 일본의 대한(對韓)정책 변화 : 다나카(田中角栄)와 오히라(大平正芳)내각의 비교
- 방유민, 서울대학교, [2019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