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電話 相談에서의 내담자 呼所 類形에 대한 상담자의 相談 戰略에 관한 硏究 = Counseling strategies of telephone counseling
- 신을진, 서울大學校 大學院, [1995]
-
2.
- 學習目標 實踐過程의 妨害要素 分析 : 高等學生의 공부計劃 實踐過程을 中心으로 = Analysis of obstacles in achieving academic goals : with special regard implementation of academic plans by high school students
- 신을진, 서울大學敎, [2005]
-
3.
- 셀프 수퍼비전(self-supervision) 모형에 기반한 초심놀이치료자 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: 통합적 놀이치료를 중심으로 = Self-supervision training program for novice play therapists :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the effects
- 차지은, 한양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4.
- 재한 중국인 초심상담자를 위한 셀프 수퍼비전(self-supervision)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=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lf-supervision program for Chinese novice counselors in South Korea
- 곽열, 한양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5.
- 학업중단숙려 고등학생의 자기조절 향상을 위한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개발
- 유경옥,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0]
-
6.
- 정서중심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우울 성향에 미치는 효과 = The Effect of Emotion-Focused Therapy Program on Depress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
- 김은진,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6]
-
7.
-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=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’s Self-determination
- 곽주희,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6]
-
8.
- 초심상담자의 셀프 수퍼비전 (self-supervision)을 위한 구조화된 모형 개발
- 조경숙, 경희대학교 대학원, [2019]
-
9.
- 중학생의 개방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=
- 김진숙, 경기대학교 대학원, [2019]
-
10.
- 사이버 아동상담에서 주호소 문제와 호소유형에 따른 상담전략
- 이정화,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01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