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STS 자료를 활용한 협동학습이 학업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
- 이소연,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0]
-
2.
- 2015 개정 교육 과정에 따른 생명과학II, 고급 생명과학 교과서와 대학교 일반 생물학 교재 연계성 분석 : 세포 호흡 단원 중심으로
- 권현석,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0]
-
3.
- 구성주의적 관점에 따른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생물 I 교과서의 '탐구' 영역 비교 분석
- 이혜선,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6]
-
4.
- 중등 과학 생물 영재 교재 분석 : 대학교 부설 과학 영재 기관 교재 중심으로 = Comparative Analysis of specific education for brilliant children's middle-school Biology Textbooks
- 김현진,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6]
-
5.
- 중등 과학 교과서의 생명 연속성 단원에 대한 용어의 연계성 비교·분석 =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nection of the Terms on 'Inheritance and evolution' in Middle and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
- 백정현,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6]
-
6.
-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CML10 Gene Involved in Ascorbic Acid Biosynthesis
- 조광문, 고려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7.
- 고등학생 성교육 관련 교과 내용 분석 : 2009 개정 교육과정 중심으로
- 원민영, 고려대학교, [2015]
-
8.
-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생명과학I 교과서 탐구 영역 비교 분석 : '자연 속의 인간' 단원 중심으로
- 여은희,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2]
-
9.
- Expression of pharmaceutical proteins, poly-L-lysine, interleukin-4 and human myelin basic protein, in plants
- 남재우, School of Biotechnology, Korea University, [2010]
-
10.
-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CRS and AtMYB20 in plant development and stress response
- Cui Meihua, 고려대학교 대학원, [2013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