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0건 중 100건 출력
,1/10페이지
-
1.
- 분청사기와 차(茶)문화 연관성 연구 : 15세기 粉靑印花繩簾紋 茶罐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uncheongsagi(粉靑砂器) and Tea(茶) Culture : - Focusing on the Buncheonyinhua seunglyeummun Tea port(粉靑印花 繩簾文 茶罐) in the 15th century
- 조찬오, 국립목포대학교 대학원, [2025]
-
2.
- 중국의 한류동향 연구 : 한국 TV드라마를 대상으로 =A Study on the Korean wave in China : focus on Korean Drama : 곡위도
- 곡위도, 목포대학교 대학원, [2012]
-
3.
- 보이차(普洱茶) 문화와 공간 연구 : 선(禪) 공간과 미니멀리즘의 융합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Puer Tea Culture and Space : Focusing on the fusion of Zen sapce and Minimalism
- 이양숙, 목포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4.
- 한?중?일 차(茶)문화 공간 및 사상 연구 = A Study on Tea Culture Space and Ideas in Korea, China, and Japan
- 유병희, 목포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5.
- 북중 문화교류 연구 : 가극 《홍루몽》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cultural exchange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: with Dream of the Red Chamber as the central figure
- 정거배, 목포대학교, [2015]
-
6.
- 남방실크로드의 차문화와 차산업 발전 연구 = A Study on Tea Culture and Economic Development of The Southern Silk Road
- 왕예, 목포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7.
- 무안군 역사자원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차 문화 콘텐츠 개발 연구 =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ea Cultural Contents through Big Data Analysis of Muan-gun Historical Resources
- 윤경숙, 국립목포대학교 대학원, [2025]
-
8.
- 원어민교사를 활용한 방과후학교 중국어교실 운영 개선방안 연구 : 전라남도 무안군 소재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중심으로 = Study on Improvements of operation on Chinese class in after-school utilizing native speaking teachers : focusing on primary and middle schools in Muan-gun Jeollanam-do
- 진희, 목포대학교, [2017]
-
9.
- 일 산촌 지역의 알코올 사용 행태 변화 : 6년 추적 조사 = Changes of alcohol behavior in an isolated mountainous region : 6 years follow up study
- 이유라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05]
-
10.
- 韓國全南務安地區小學漢語敎學與《快樂敎育法》策略硏究 = A Study on the Strategy of Elementary Chinese Academia and the 'Joyful Education’ in Muan-gun,Jeollanam-do
- 이해리, 목포대학교 대학원, [201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