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ICT 기반 실감콘텐츠 전시 유형 및 연출 연구 :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의 사례 비교 분석 = A Study on Exhibition Types and Presentation Methods of ICT-Based Immersive Content
- 김유승,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, [2025]
-
2.
- 무용과 기술을 컨버전스(Convegence)한 ‘테크놀로지 아트(Technology Art)’ 사례 연구 : 실감미디어와 인공지능을 중심으로
- 최우현,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4]
-
3.
- 대중적 콘텐츠로서 일본 형사드라마의 로컬라이제이션(localization) 연구 : 〈춤추는 대수사선 踊る大捜査線〉시리즈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localization of Japanese detective drama as popular contents : focusing on 〈Bayside Shakedown〉 series
- 유경, 한양대학교, [2015]
-
4.
- 실감미디어 콘텐츠에서의 상호작용에 따른 촉각 자극 연구 : 하프 시뮬레이션을 중심으로
- 임도희, 경희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5.
- 공간과 물질의 二元的 合一에 관한 연구 : (The) space of galaxy 시리즈 중심 = (A) study of dualistic unification of space and matter
- 이경희,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, [2005]
-
6.
- 군무원 직군·직렬 분류제도 개선방안 연구 = Plans for Improvement of Job Group and Job Series Classification system of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
- 하윤주, 건양대학교, [2011]
-
7.
- 신발에 내재된 흔적을 표현한 회화 : 본인작품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painting expressing traces of shoes : focused on my painting series
- 홍주연,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, [2013]
-
8.
- 3D 애니메이션 <토이 스토리 3>의 음악분석을 통한 영상과 음악의 상관관계 연구
- 오수경,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, [2016]
-
9.
- 수치지도의 구축 및 변화탐지에서인공지능의 적용 =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to Construction of Digital Map and Change Detection
- 서홍덕, 남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10.
- 섬유조직의 표현 기법을 통한 관계와 공존의 회화적 표상 연구 :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Symbol of Relationship and Coexistence through the pictorial expression Technique of Textile Tissue : Focusing on the work of the researcher
- 윤혜인, 인천대학교 대학원, [2022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