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과학 중점학교의 비교과 체험활동이 학생의 과학과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= Effect of Non-subject Activties in Science Focused Schools on Students’ Science Core Competencies
- 이승욱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25]
-
2.
-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‘디지털 리터러시’ 향상을 위한 수업모형의 개발과 적용 효과 = Development of a Instructional Model for Improving “Digital Literacy”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 and the Application Effect
- 양승원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3.
- 생명과학 Ⅰ의 ‘생태계와 상호작용’ 단원에서 SW를 활용한 STEM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= Development and Application Effect of STEM Program Using SW in the 'Eco-System and Interaction'
- 김수현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4.
- 중학교 과학교과서의 ‘동물과 에너지’, ‘식물과 에너지’ 단원에 제시된 삽화의 유형 특징과 탐구 기능 비교 분석 = Comparative Analysis of Type Characteristics and Inquiry Function of Illustrations Presented in the 'Animals and energy' and 'Plants and Energy' Units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
- 백종원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5.
- 중학교 과학 교과서 ‘생식과 유전’ 단원의 삽화 비교 분석과 삽화의 효과성에 대한 학생 인식 조사 = Comparative Analysis of Illustrations in the ‘Reproduction and Genetics’ Unit of the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 and Survey of Students' Perceptions of the Effectiveness of Illustrations
- 차재민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6.
- 일반계 고등학교의 STEAM R&E 활성화 방안 탐색 = Activation plan research for STEAM R&E in general high schools
- 이명준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7.
- 초등과학 '생물과 환경' 단원에서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의 적용 효과 분석 =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Backward Course Design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on 'Biological and environmental' section
- 함정화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17]
-
8.
- 생물 1급 정교사 자격연수에 참여한 생물교사들의 과학과 핵심역량에 대한 관심도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인식과 실행의 변화
- 고지연, 부산대학교, [2020]
-
9.
- STEAM 문제 상황에서 중등 영재학생들이 나타낸 문제의 발견과 해결 특성 = Problem Finding and Problem Solving Characteristics Presented by Secondary Gifted Students in STEAM Problem Situations
- 이은선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10.
- 체육계 고등학교 학생의 생명과학Ⅰ 개념 이해도 향상 방안 = A Study on Improving Understanding of Life Science Ⅰ Concepts of sports high school Students
- 윤지영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20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