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美國의 對外政策 形成과 싱크탱크의 役割 : 이라크 戰爭 事例를 中心으로
- 신택호, 忠南大學校 大學院, [2010]
-
2.
- 한국 정책생태계에서 싱크탱크의 역할에 관한 연구 : 국내 12개 싱크탱크의 지식확산 사례를 중심으로
- 최진선,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, [2013]
-
3.
- McGann지표를 활용한 중국의 싱크탱크 평가연구 : 중국 주요 13개 싱크탱크 사례 중심
- 장선, 중앙대학교 대학원, [2013]
-
4.
- 싱크탱크와 정부와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: 2차 북핵문제에 대한 한 중 일 싱크탱크 정책연구의 비교를 중심으로
- 채향란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13]
-
5.
- 한국 행정연구의 연합학문성 연구 : 한국행정연구원의 연구결과를 중심으로
- 윤치중, 중앙대학교 대학원, [2018]
-
6.
- 미국 합동작전개념 변화 결정요인 연구 : 미·중 패권경쟁 맥락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U.S. armed forces' joint operation concept transition : focus on the context of U.S.-PRC hegemonic competition
- 원인재, 대전대학교, [2023]
-
7.
- 미국의 대중국 군사전략 진화의 특징과 결정 요인 : 공해전투로부터 JAM-GC까지 = The characteristics and major determining causes of the evolution of U.S. military strategy toward China : from airsea battle to JAM-GC
- 이영섭, 경남대학교, [2020]
-
8.
- 미국 대북 경제제재의 작동 메커니즘과 트럼프 행정부 하에서의 진화과정 = The U.S. economic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: how it works and evolves under the Trump administration?
- 정수연, 숙명여자대학교, [2019]
-
9.
- 중국 정책결정과정에서 지식인의 역할과 영향력
- 우예슬,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, [2016]
-
10.
- 연구성과의 정책반영에 관한 연구 : 경제·인문사회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을 중심으로
- 안혜경,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, [2016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