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VTS를 통한 미술감상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시각적문해력에 미치는 효과 = The Effect of Art Appreciation Activity Using VTS on Visual Literacy of 5-year-old Children
- 권동순,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, [2021]
-
2.
- 시각문화 미술교육을 통한 초등학생 성평등 수업 프로그램 개발 : 초등 5·6학년을 중심으로
- 이선희, 경인교육대학교, [2019]
-
3.
- 우리나라 미술관의 역사와 교육철학
- 조윤경,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, [2015]
-
4.
- 초등미술교육에서 학교미술관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: 초등학교 5, 6학년군 중심으로
- 유명선, 경인교육대학교, [2019]
-
5.
- 초등 미술과 공예 교육 프로그램 개발 -크래프티비즘 기반으로- = Development of elementry arts and crafts education Program -Based on Craftivism-
- 장아네스,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, [2022]
-
6.
- 통합적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의 지도방안 연구 : 고양아람미술관 <신화와 전설展>에서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= Research on an instructional plan for an integrated art museum educational program
- 전은주, 경인교육대학교, [2014]
-
7.
- 미술관에서 도슨트 활동 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
- 나선엽, 경인교육대학교, [2019]
-
8.
- 학교 내 미술관을 활용한 미술관교육 프로젝트 개발 : 초등학생 대상 대화 중심 감상을 기반으로 = Development of education project using art museums in school : Focused on Interactive art appreci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
- 신혜선,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, [2021]
-
9.
- 미술관에서의 대화 중심 감상교육 프로그램 개발 : 유아 부모를 대상으로 = Development of a Conversation-Based Appreciation Education Program in an Art Museum : For parents of preschoolers
- 김아현,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, [2025]
-
10.
- 오감을 활용한 미술 감상 수업 프로그램 개발 연구
- 김은진,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, [201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