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디지털 조형의 혼성적 특성연구
- 김란희, 국민대학교 대학원, [2015]
-
2.
- 이동공간으로서 엘리베이터의 확장된 전이성 연구
- 배주현,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6]
-
3.
- 후기모더니즘 평행투상 건축드로잉에 드러나는 주관성 발현 연구
- 박미영,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, [2017]
-
4.
- 노테이션을 통한 사운드의 공간성 발현 연구
- 방정민,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, [2020]
-
5.
- 패러매트릭 디자인에서의 점진적 조형특성 연구
- 김용학,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건축디자인학과, [2018]
-
6.
- (A) Comparative Study on National Education System and Interior Design of Public Children's Library in Sweden and South Korea
- 빅토리아,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공간디자인학과공간디자인전공, [2018]
-
7.
- 디지털 형태생성을 통한 블로비즘 공간의 비동질성 연구
- 유영준, 국민대학교 테크노전문디자인대학원, [2020]
-
8.
- 전통공간재생에서의 장소적 기억에 대한 연구-베이징 후통지역의 사합원을 중심으로 : 베이징 후통지역의 사합원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Memory of Space in Traditional Space Regeneration:Focused on Siheyuan in Beijing Hutong Area
- 린안기,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, [2022]
-
9.
- 커뮤니티 스토어의 디자인 특성 연구 : 타운스퀘어 기반 애플 스토어를 중심으로
- 강보경,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, [2020]
-
10.
- 트랜스포메이션 디자인을 통한 시공간적 의미연구 : 척 호버만의 트랜스포메이션 시스템을 바탕으로
- 이세훈,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, [2020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