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자살 고위험군에서 자살시도 위험 예측 모델의 개발 및 검증 =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odel for Predicting the Risk of Suicide Attempts in High-Risk Groups
- 양정훈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2.
- 암환자의 우울과 자살의 위험 요인 및 암생존자통합지지센터의 디스트레스 관리의 효과 = Risk factors of depression and suicide in patients with cancer and the effect of distress management in Korean Cancer Survivorship Centers
- 이현정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3.
- 음성과 텍스트를 이용하여 우울증 및 자살 위험을 평가하는 인공지능 기반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에 관한 연구 = A study on artificial intelligence-based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to evaluate depression and suicide risk using voice and text
- 신다운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4.
- 주요정신질환 고위험군의 진단, 중증도, 경과와 관련된 임상 변인과 혈액 단백체 분석 연구 = A Study on Clinical variables and Blood Proteins related to Diagnosis, reflect Severity, and Progress of High-Risk State of Psychiatric Disorders
- 이현주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5.
- Differential diagnosis of major psychiatric disorders using mass spectrometry-based blood proteomic analysis = 질량 분석기 기반 혈액 단백체 분석을 이용한 주요정신질환의 감별진단
- 이상진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6.
- Artificial Intelligence(AI)-driven Screening and Monitoring for Suicide Risk through Voice Analysis = 음성 분석을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자살 위험군 선별 및 모니터링
- 민수연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7.
- 자살 사망자의 뇌조직을 이용한 자살의 생체 표지자 발굴 = Identification of Biomarkers of Suicide Using Postmortem Brain Tissue
- 김민지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8.
- 原電 部品 故障分析과 類型別 信賴度 分析 및 信賴度 向上對策 = Analysis of component failure and reliability of nuclear power plant
- 안용민, 慶星大學校 産業大學院, [1990]
-
9.
- 공유리더십이 팀효능감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: 팔로워십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= The Effects of Shared Leadership on Team Efficacy and Innovative Behavior: The Mediated Effect of Followership
- 안용민, 울산대학교 대학원, [2017]
-
10.
- 예레미야서의 성전설교에 나타난 신명기적 신학사상에 관한 연구
- 안용민,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, [2015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