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창의성 교육의 한국적 실천 : 국제학교 학부모들 사례를 중심으로 = Raising a Creative Child in Globalized Korea : A Case Study of International School Parents and Children
- 안병선,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3]
-
2.
- 한국 중산층의 결혼 준비 관행 : 소비와 교환의 실천을 중심으로 = Wedding Practices of the Korean Middle Class : Focused on Consumption and Exchange
- 윤나래,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4]
-
3.
- 게임언어를 통한 다층적 남성성의 구성 = Game language and construction of heterogeneous masculinity
- 김보미,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2]
-
4.
- ‘가상-실천공동체’를 통한 전략적 자기계발 실천 : 다이어트 오픈채팅방의 다중양식적 상호작용 분석 = The strategic self-development within a 'Virtual community of practice' : the analysis of multimodal interaction in a 'Diet chat room'
- 김예니,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4]
-
5.
- 노인보호전문기관 사회복지사의 위험상황 경험이 전문직 삶의 질(ProQOL)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헌신의 매개효과 : 네트워킹 행동의 다중집단 비교
- 김천오, 호서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6.
- 신종교의 언어적 실천과 종교성 : 한국SGI 사례를 중심으로 = The Linguistic Practice and Religiosity of a New Religious Movement : A Case Study on Korea SGI
- 최지원,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0]
-
7.
- 농사기술과 사회적 관계의 상호구성 : 과학기술의 도입으로 인한 농촌마을의 변화상을 중심으로 = Mutual constitution of agricultural technology and social relationship in a Korean farming village
- 주희란,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2]
-
8.
- 노인장기요양시설 종사자의 인권의식과 인력형태가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: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
- 김원천, 호서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9.
- “꼭 떠나야 하나요?”: 지방 여성청년의 생애기획과 정체성 = “Why can’t I stay hometown?”: Life planning and identity of provincial female youth
- 여수연,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2]
-
10.
- 믿을 만한 먹거리 체계 만들기 : 농부시장 마르쉐@ 사례를 중심으로 = Creating a reliable food system : the case of farmer’s market marche@
- 김혜원,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3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