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경북 울진 금음 Mo 광상의 광화작용에 관한 연구 = Mo Mineralization of the Geumeum Deposit, Uljin Gyeongbook, Korea
- 김형석, 부산대학교, [2015]
-
2.
- 제주도 암석권 맨틀의 교대작용 : 페리도타이트 포획암과 CO2 유체포유물 증거 = Metasomatism of the Jeju lithospheric mantle, South Korea : evidence form peridotite xenolith and Co,-rich fluid inclusions
- 우용훈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15]
-
3.
- 부산 일광 각력파이프형 Cu 광상의 광화작용 = Cu Mineralization of the Ilkwang Breccia Pipe-type Copper Deposit, Busan
- 서민영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4.
- 백두산 지역의 알칼리 현무암 내의 첨정석 페리도타이트 포획암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= Petrological Study of Spinel Peridotite Xenolith in Alkaline Basalt from Mt. Baekdu area
- 김은주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18]
-
5.
- 부산 태종대 구상호온펠스의 광물학적 특성과 성인에 관한 연구 = Mineralogy and Petrogenesis of the Orbicular hornfels from Taejongdae Formation, Busan
- 이경희, 부산대학교, [2007]
-
6.
- Rare Pyroxenite Xenoliths in Alkali Basalts from Jeju Island, South Korea = 제주도 알칼리 현무암에 포획된 휘석암에 대한 연구
- 히라타, 치하루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7.
- 아르데코 양식의 입체적 표현기법을 활용한 트렌치코트 디자인 조형성 연구
- 조은경, 홍익대학교 패션대학원, [2022]
-
8.
- 우주 관련 이미지를 재해석한 패션디자인연구 : 옵아트의 표현방법을 활용하여
- 강샛별, 홍익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9.
- 중국 전통복식의 평면패턴을 활용한 제로 웨이스트 패션디자인 연구
- XUAN ZHIEN, 홍익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10.
- 그리스 고전주의 복식과 중국 운견(云肩)의 특징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연구
- Mei, Wan Ting, 홍익대학교 대학원, [2020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