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한국 전후연극의 탈재현주의적 양상 연구
- 이영석, 서울대학교, [2016]
-
2.
- 최인훈 희곡의 연극적 기법과 미학 연구
- 조보라미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07]
-
3.
- 1970년대 희곡의 전통 활용 양상과 극적 형상화 연구
- 김윤정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05]
-
4.
- 1990년대 초반 희곡의 남녀 인물 형상화 연구 : 중산층 가정극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Male-Female Characters in Early 1990s Korean Theater ; Based on an Examination of Middle Class Family Theater
- 이지인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5.
- 1980년대 한국영화에 나타난 광기의 양상 = A Study on Insanity in 1980s’ Korean Film
- 니삼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6.
- 문화상호주의 관점에서 본 <로미오와 줄리엣>의 각색 공연 연구 : 오태석, 양정웅, 티엔친신의 연출을 중심으로 = The Adaptation of Romeo and Juliet from an Intercultural Perspective : Focusing on the works of Oh Taeseok, Yang Jungwoong, and Tian Qinxin
- 진상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7.
- 1950년대 한국영화에 나타난 죽음의 재현 양상과 그 의미
- 손혜경, 서울대학교, [2017]
-
8.
- 1960년대 한국 코미디영화의 희극성과 그 의미 = A Study on the Comicality in 1960’s Korean Comedy Films
- 윤유정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9.
- 번안창극의 상호문화적 공연 양상 연구 : 2000년 이후 국립창극단의 공연작품을 중심으로 = A Study of the Intercultural Performance Aspects of Translated Changgeuk
- 손봉금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10.
- 1970년대 청년영화의 감각성 연구
- 홍혜정, 서울대학교, [201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