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한국의 사전투표제 도입과 투표참여 : 2014년도 지방선거에 대한 경험적 분석 : Empirical Analysis for Local Elections in 2014 = Early Voting and Voter Turnout in Korea
- 윤기쁨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2.
- 한국 지역주의 투표행태의 변용 : 지역에서 이념으로 = Acculturation of the Regional Voting Behavior in Korea : From Region into Ideology
- 장은영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3.
- 한국의 사전투표제 도입과 투표참여: 2014년도 지방선거에 대한 경험적 분석 = Early Voting and Voter Turnout in Korea: Empirical Analysis for Local Elections in 2014
- 윤기쁨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15]
-
4.
- 한국 국회의원의 공천유형과 정당충성도 : 제19대 국회에 관한 경험적 분석 = Candidate Selection Methods and Party loyalty in Korea : With Focus on the 19th National Assembly Election
- 서대원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18]
-
5.
- 지방의회 견제기능의 실증적 분석 : 서울시의회와 부산시의회 회의록을 중심으로 = Empirical Study of The Checks and Balances of Local Councils in Korea : Focus on The Seoul Metropolitan Council and The Busan Metropolitan Council
- 육태훈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6.
- 투표용지 순서효과와 지역의 조절효과 : 2010년과 2014년 한국 교육감 선거에 대한 경험적 분석 : Empirical Analyses of 2010 and 2014 Education Superintendent Elections in Korea = The Ballot Order Effect and The Moderate Effect by Region
- 정우승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7.
- What Makes Polarization in the U.S. House? : Seniors, Newcomers and Policy Issues. : 미국 하원 양극화의 원인은 무엇인가? : 중진의원과 신임의원 그리고 정책이슈를 중심으로.
- 강원식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8.
- 투표용지 순서효과와 지역의 조절효과 : 2010년과 2014년 한국 교육감 선거에 대한 경험적 분석 = The Ballot Order Effect and The Moderate Effect by Region : Empirical Analyses of 2010 and 2014 Education Superintendent Elections in Korea
- 정우승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15]
-
9.
- 정당지지 변화 요인에 관한 연구 : 새누리당 지지자의 이탈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Factors of Changes in Party Support : Focused on the Breakway of Saenuri Party Support
- 김정민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18]
-
10.
- 선거경합도가 득표율과 재선에 미치는 영향력 :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 대한 경험적 분석 = The Effects of Electoral Competition on Vote Share and Reelection: Empirical Analyses of 19th National Assembly Elections in Korea
- 김상은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1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