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교과 연계 읽기 지도 프로그램과 자유독서활동 병행이 읽기 태도·읽기 동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: 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= The effect of integrating voluntary reading method with course associated reading program on motivation and attitude toward reading -3rd grade
- 윤석환, 서울교육대학교, [2018]
-
2.
-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전통문화 지도방안 : 옛이야기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Traditional Culture Teaching Method Based on Process Drama : Revolved Around a Fairy Tale
- 정진영,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, [2014]
-
3.
- 교육연극을 활용한 단계적 이야기 창작 지도방안 연구 = A Study on Teaching Method of Stage Creation by Using Educational Drama
- 안시진,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, [2018]
-
4.
- 서사 창작에서 인물의 형상화 지도방안 연구 =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method of narrative creation centered on materializing character
- 이현지, 서울교육대학교, [2017]
-
5.
- 초등학교 시 창작 지도 방법 연구 : 황동규 작시법을 중심으로 = A Study of Teaching Poetry Creative writing in Elementary School : Focused on Hwang Dong-kyu`s writing Poetry
- 이금선,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, [2017]
-
6.
- 직유를 활용한 시 창작지도 방안 연구 = A study on teaching method of poetry writing using the simile
- 정영선, 서울교육대학교, [2018]
-
7.
- 회화 감상을 활용한 시 창작 지도 방안 = A Teaching Method for Poetry Writing Using Painting Appreciation
- 박정우,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, [2018]
-
8.
- 스마트 교육을 기반으로 한 시 창작 지도 방안 연구 = A study on the education of writing poems based on smart education
- 임지원, 서울교육대학교, [2016]
-
9.
- 동화 원작 확장을 통한 서사 창작 지도 방안 연구 = A Study on Teaching Narrative Writing through Expansion of Fairy Tales
- 강민경,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, [2018]
-
10.
-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시 창작 지도의 효과 = The effect of teaching method about writing poetry for improving self-esteem
- 박은아, 서울교육대학교, [2016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