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구어 발달이 느린 학습자의 읽기 따라잡기 사례 연구
- 박도현,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2]
-
2.
- 초기 문해력 수업에서의 환경적 문자 선정 및 활용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= A Case Study of Selecting and Using Environmental Print in Early Literacy Education
- 황수원,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4]
-
3.
- 아이의 눈높이에 머무르기에 대한 읽기 따라잡기 교사들의 인식 및 실행 양상 연구 =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Reading Catch Up teachers for Roaming Around the Known
- 류희경,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4]
-
4.
- 이오덕 동시의 현실주의적 변모 과정 연구 = (A) Study on The evolutionary development of realism reflected in Lee Oh-duk's poetry for children
- 김성길, 청주교육대학교, [2005]
-
5.
- 생태적 감수성 교육을 위한 한 학기 한 권 읽기 수업 연구 -『비밀의 화원』을 중심으로- = A Semester Reading Class Study for Ecological Sensitivity Education -Focusing on 『The Secret Garden』-
- 반원모,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2]
-
6.
- 문해력 교사 되기 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= An Autoethnography on the Process of Becoming a Literacy Teacher
- 유부름,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5]
-
7.
- 초기 논술 능력 신장을 위한 지도 방법 연구 : 육하원칙에 따른 질문 전략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Guidance to Improve Initial Ability fot Essay Writing
- 이륜경,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5]
-
8.
- 철자 쓰기에 어려움을 겪는 읽기 부진아의 개별화 지도 사례 연구
- 조미선,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2]
-
9.
-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문학 단원 질문에 대한 연구 = A Study on Questions in Teaching Literature in Korean Textbook at the Elementary School
- 장혜진,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3]
-
10.
- 과밀학급에서의 그림책 읽기 지도 실행연구 : -초등학교 1학년 사례를 중심으로- = Action research on Teaching Reading Picture book in crowded class -Focusing on the case of 1st grade of elementary school-
- 민경효,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5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