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영미 희곡을 통한 효과적인 고등학생 영어수업 지도방안 연구 : 쏜톤 와일더(Thornton Wilder)의 『우리 읍내』(Our Town)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Efficient English Teaching Method for High-School Students through British and American Drama : Focusing on Thornton Wilder's Our Town
- 이상화,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1]
-
2.
- 영미 아동시의 반복적 패턴 활용을 통한 영문법 교육에 관한 연구
- 이현종,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7]
-
3.
- 오닐과 쇼의 희곡 연구 : 여성의 역할 = (A)study on O'Neill's and Shaw's plays : the roles of woman
- 유향덕, 圓光大學校, [2007]
-
4.
- Acting out the fractured Irish history : a study of Brian Friel's Plays, 1980-1990 = 아일랜드 역사의 재구성 : 브라이언 프리엘의 1980~1990년 희곡 연구
- 이형섭, 한양대학교 대학원, [2009]
-
5.
- Jonson의 쟈코비안 희곡에 나타난 희극 개념
- 박순필, 한양대학교 대학원, [1999]
-
6.
- 영미 극에 나타난 레즈비언 재현 : 『아이들의 시간』과 『클라우드 나인』을 중심으로 = Lesbian Representation in British and American Drama : Focusing on The Children's Hour and Cloud Nine
- 이승희, 건국대학교 대학원, [2000]
-
7.
- 고등학교 영어독해와 작문교과서의 영미문학 텍스트를 통한 문화 지도 연구
- 장고운,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5]
-
8.
- 영미단편소설을 활용한 전략기반 읽기활동이 한국 성인 학습자들의 읽기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
- 이혜정,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3]
-
9.
- 영미 문학을 활용한 효과적인 영어 수업 방안 연구 : Romeo and Juliet을 중심으로 = (A) Study on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es Using English Literature in English Education : Focusing on Romeo and Juliet
- 김현주,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8]
-
10.
- 렉스스타우트의 미스터리 소설 <요리사가 너무 많다>의 희곡으로의 변용 = The dramatization of the mystery novel <Too Many Cooks> by Rex Stout
- 이경원, 한양대학교 대학원, [200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