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698건 중 1,000건 출력
,1/100페이지
-
1.
- 한국미술의 민화적 의미에 관한 고찰 : 시대적 편년을 중심으로 = (A) study on meaning of folk paintings in traditional Korean arts-based on chronological recording : based on chronological recording
- 정진희, 圓光大學校, [2014]
-
2.
- 주체표현으로서의 연기 : 포스트드라마 시대의 새로운 연극성을 위한 연기양식 연구 = The acting as subject-constitution : research on the acting style in postdramatic theatre era for a new theatricality
- 김수진, 경기대학교, [2015]
-
3.
- 法頂의 시대정신 형성과 전개과정 연구 : <大韓佛敎>(현 <불교신문>) 발표 원고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Ven. Beop-jeong’s Thought : Focused on the Manuscripts of The Buddhist Newspaper “Daehan-Bulgyo”
- 여태동,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, [2021]
-
4.
- 육조시대의 철학사상과 예술론 : -'형이상(形而上, intangible)’과 ‘형이하(形而下, tangible)’의 상호관계-
- 강여울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18]
-
5.
- 한국 현대미술의 동시대성에 관한 연구 : 1990년대 작가들의 활동을 중심으로
- 김형미, 서울대학교, [2019]
-
6.
- 조선시대 소설비평의 소설교육론적 연구
- 박은진, 서울대학교, [2019]
-
7.
- 포스트모던 시대에서의 전도설교 연구
- 김성근,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, [2013]
-
8.
- AI 시대에 대비한 학교 수학 교육과정기준 개발 연구
- 박상우, 고려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9.
- 1920년대 한국소설의 형성과정 연구 : 근대형성의 내적논리와 단편소설의 양식화과정을 중심으로
- 차혜영, 한양대학교 대학원, [2001]
-
10.
- ‘동시대인’의 예술 : 도시 속 일상을 중심으로
- 강효진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1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