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1960년대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서사적 형상화 연구 = A study on the narrative formation of death in Lee Chung-jun's 1960s novels
- 박재현, 서강대학교 대학원, [2018]
-
2.
- 5·18문학에 나타난 기억과 글쓰기의 관련 양상 연구 =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memory and writing in 5·18 literature
- 양진영, 서강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3.
- 분열과 조율의 변증법 : 이청준 소설의 자기형성적 텍스트성 연구 = Dialectics of splitting and tuning : a study on the textuality of Lee Chung-jun’s novels
- 이소연, 서강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4.
- 문학교육의 정의적(情意的) 영역 교수학습 및 평가방법 연구
- 박현수,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9]
-
5.
- 박완서 소설의 자전적 텍스트성 연구 = A Study on the Autobiographical textuality of Park Wan-seo’s Novels
- 안아름, 서강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6.
- 조세희 소설에 나타난 정치적 주체의 형상화 연구 = A Study on the Figuration of Political Subject in Cho Se-Hee’s Novels
- 조자영, 서강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7.
- 한인 이주민 서사에 나타난 '혼종적 정체성'과 '동화의지' 연구 : 1990년대 이후 이창래, 안정효, 김재영 소설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Hybrid Identity and Assimilating will of Korean Immigrant Narrative : centering around novels of Lee Chang-rae, An Jung-hyo and Kim Jae-young, since the 1990s
- 윤준민, 서강대학교 대학원, [2018]
-
8.
- 공감적 자기화를 활용한 문학교육 방안 연구 : 1950년대 전쟁 체험시를 제재로 = A study on education plans for literature through empathic self-creation: experiential poetry of war in 1950's
- 천경은,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0]
-
9.
- 신동엽 시에 나타난 인유 양상과 그 효과 연구 = A Study on the Aspects and Effects of Allusions in Shin Dong-yeop’s Poems
- 이대성, 서강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10.
- 생산 활동 심화를 위한 ‘문학의 수용과 생산’ 단원 교육 방안 연구 : 곽재구「사평역에서」와 임철우「사평역」제재를 중심으로
- 원종숙,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