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新石器時代 早期 東海岸地域 물질문화 교류 : 죽변리유적 출토 토기 중심으로 = A Study on Exchange of Material Culture along the Ea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Neolithic Age - Focused on the Pottery Site of remains Jukbyeon-ri -
- 하영중, 영남대학교 대학원, [2019]
-
2.
- 주칠과 비주칠의 분석 비교를 통한 울진 죽변리 토기의 특성 고찰 = A Characteristic Investigation on the Pottery from Jukbyeon-ri Site in Uljin by Analytical Comparison of Red Painted and None Red Painted
- 김정록,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0]
-
3.
- 高麗時代 墳墓 硏究 : 陶器編年을 中心으로 = Grave Study on Koryo Period : Focused on the chronicle of koryo pottery
- 주영민, 新羅大學校 大學院, [2004]
-
4.
- 한반도 신석기시대 매장의례에 관한 연구
- 김주연, 동아대학교 대학원, [2013]
-
5.
- 鴨形土器의 變遷과 그 意味 = A study on changes of Duck-shaped pottery and the significance
- 박현상, 한신大學校, [2017]
-
6.
- 고려시대 사찰의 院館 建築 연구
- 박만홍, 명지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7.
- 한국 수중고고학 현황 연구
- 김도현, 부경대학교 대학원, [2013]
-
8.
- 오산리식토기 편년 연구 : 오산리 A지구의 층서를 중심으로
- 이소라, 동국대학교, [2017]
-
9.
- 한반도 산양의 시·공간적 분포와 변화
- 김다빈,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7]
-
10.
- 영동지역 신석기시대 토기 기종조성의 변화 = Changes of type composition in neolithic pottery of Yeongdong region
- 공승은, 한남대학교 대학원, [2020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