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로컬크리에이터를 통해서 본 지역성의 변화 : 로컬 씬(Scene)과 유튜브가 지역방송에 주는 함의 = Changes in Locality Through Local Creators : The meaning of local scenes and YouTube for local broadcasting
- 소민정,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0]
-
2.
- 중국 휘주(徽州) 이현(黟县) 고민가 문창(門窓)의 문양(紋様)) 체계화에 관한 연구 = A Study on the Systematization of the Glyptic Patterns of Doors and Windows of Ancient Dwellings in Yi County, Huizhou, China
- 저개봉, 한서대학교 대학원, [2017]
-
3.
- 韓國과 中國의 離農 比較硏究
- 천강화, 釜山大學校, [2007]
-
4.
- 고려 후기 문화 유씨 가문의 가계와 통혼권
- 유경래, 아주대학교, [2007]
-
5.
- 조선시대 사대부 園林으로서 洞에 관한 연구 = a study on the 'Dong' as scholer's landscape garden in Joseon dynasty
- 유가현,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, [2012]
-
6.
- 韓·中 文化交流의 相互認識에 대한 比較 硏究 : 韓流와 漢潮에 대한 양국대학생의 認識을 중심으로 = (A) comparative study on the mutual recognition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: focused on the recognition of both countries' university students on the Korean wave in Asia
- 윤경한, 韓國外國語大學校, [2008]
-
7.
- 明淸時代 徽州의 鄕村組織과 宗族의 關係에 관한 硏究 = 明淸時代徽州鄕村組織與宗族關係硏究
- 홍성구, 高麗大學校 大學院, [2003]
-
8.
- 艾靑의 近代體驗과 詩的 이미지 硏究
- 박남용,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, [2006]
-
9.
- 근골격계 초음파를 이용한 오수혈의 자침 깊이와 형태학적 고찰
- 박만용, 圓光大學校, [2012]
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