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28건 중 328건 출력
,1/33페이지
-
1.
- 北方民族考 : 遊牧國家로부터 征服國家에로의 發展을 中心으로 = (A) Consideration on the Nothern Tribes
- 이영무, 慶北大學校 大學院, [1958]
-
2.
- 중앙아시아와 한반도의 유목적 트랜스문화주의 역사적 고찰
- 샤무라토바 구잘,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, [2024]
-
3.
- 유목 세계를 고려한 동아시아사 교육 방안
- 조혜민,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1]
-
4.
- 몽골 유목민문화의 관광상품화 방안에 관한 연구
- 간체첵, 경기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5.
- 중국 몽골족 전통 결혼식 음악의 민족적 특징과 의의에 관한 연구 : 가사, 전통악기, 가창법을 중심으로
- 사욱, 겅희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6.
- 제7차 고등학교『세계사』교과서 ‘북방민족’ 서술 분석
- 윤소정,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0]
-
7.
- 중국 소수민족 문화 특성이 반영된 애니메이션 연구 : - <용사>와 <징키스칸> 중심으로 - = A Study on the Effects of Chinese ethnic minorities Cultural Characteristics on Animation:Focused on Analysis of <Warrior> and <Genghis Khan>
- QI HAIRIHAN, 세종대학교 대학원, [2019]
-
8.
- 유목문화를 기저(基底)로 한 몽골무용 특징 연구
- 천은혜,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, [2004]
-
9.
- 한국 곡예/서커스의 공연민족지적 연구 = (An) ethnography of the Korean circuses performance
- 허정주, 전북대학교, [2011]
-
10.
- 중국 동북부 제민족의 주거 및 주생활 특성 : 黑龍江省과 內蒙古自治區의 5개 소수민족을 중심으로 = Housing and life style of the 5 tribes in Northeastern China
- 신수영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03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