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지방자치와 지역언론의 역할에 관한 일 고찰 = Local Autonomy and the Role of Local Press
- 고재석, 대구대학교, [2005]
-
2.
- 가짜뉴스 형식과 이슈에 따른 이용자 댓글 반응 = Responses of users' comments depending on the format and issue of the fake news
- 이효음, 경북대학교 정책정보대학원, [2019]
-
3.
- 유튜브 썸네일의 표현기법이 이용자의 조회의도에 미치는 영향 : 감성소구기법과 히긴스(Higgins)의 조절초점을 중심으로 = The effect of the expression technique of Youtube Thumbnail to the users’ view intention* : Based on the Emotional Appeal Technique and Regulatory Focus of Higgins
- 임재환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4.
- ASMR 이용 동기와 충족 : 플로우(Flow) 경험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Motivation and Gratification of ASMR Users : focusing on flow experience
- 정민주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18]
-
5.
- 학교 미디어 교육의 실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= Study on the Reality and Effectiveness of Media Education in School
- 이윤경, 경북대학교 정책정보대학원, [2015]
-
6.
- 가짜뉴스에 대한 이해관계인들의 인식연구 : 가짜뉴스의 개념 및 대응방법론에 관한 Q방법론과 심층인터뷰 =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Stakeholders about Fake News: Q Methodology on the Concept of Fake News and In-depth Interview about Response Methodology on Fake News
- 김주용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7.
- 소셜미디어 이용이 청소년의 정치참여 및 참여의향에 미치는 영향 : 선거권 연령 하향 이슈를 중심으로 = The effect which Use of Social Media has on Adolescents’ Political Participation and Intention of Participation : Focusing on the Issue on Lowering the Voting Age
- 성지원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19]
-
8.
- 한국과 미국 일간지의 자살보도 비교 : 자살보도 권고기준 준수 정도를 중심으로 : Focused on degree of compliance with media guidelines on suicide news = A comparative analysis of suicide news on daily newspapers of South Korea and United States
- 이병준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15]
-
9.
- 2024년 대학가의 친팔레스타인 시위 국제뉴스 프레임 연구: 뉴욕타임스, 알자지라, 타임스오브이스라엘을 대상으로 = A Study of International News Frames on pro-Palestinian Protests on University Campuses in 2024: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New York Times, Al Jazeera, and The Times of Israel
- 강명철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10.
- 농촌지역민들의 커뮤니케이션채널이용에 따른 지역사회인식에 대한 연구 = The Impact of Rural Residents’ Communication Channel Use on the Perception of Local Community
- 전윤정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15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