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수심과 염분도 구배에 따른 동해안 습지의 주요 수‧습생식물의 분포와 갈대 군락의 동태
- 김미희, 강릉원주대학교, [2010]
-
2.
- 점봉산 소나무림의 탄소저장량과 장기간의 목본 동태 = Carbon storage and long-term dynamics of woody species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in Mt. Jumbong, Korea
- 김성호,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4]
-
3.
- 송전선로 건설을 위한 진입로에서 복원사업 후 식생구조의 변화
- 이정민, 강릉원주대학교, [2011]
-
4.
- 멸종위기야생식물 닻꽃(Halenia corniculata (L.) Cornaz), 갯봄맞이꽃(Glaux maritima var. obtusifolia Fernald) 및 산작약(Paeonia obovata Maxim.)의 보전생태학적 연구
- 김영철,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7]
-
5.
- 동해안 산불피해지에서 식생, 토양침식량 및 탄소 수지의 장기생태모니터링 = Long-Term Ecological Monitoring for Vegetation, Soil Erosion and Carbon Budget after Forest Fire
- 윤형석,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3]
-
6.
- 신속평가기법(RAM, Rapid Assessment Method)을 이용한 도심습지의 생태계서비스 기능 평가 = Evaluation of the ecosystem services using RAM(Rapid Assessment Method) for urban wetlands
- 신경윤,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2]
-
7.
- 남극 지의류 Himantormia lugubris의 공간분포에 미치는 미환경의 영향 = Influence of microenvironment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Himantormia lugubris (Parmeliaceae)
- 최승호,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4]
-
8.
- 경포천과 경포호에서 염분구배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
- 신은주, 강릉원주대학교, [2011]
-
9.
- 등산객에 의한 답압이 설악산 아고산대에 자생하는 식물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
- 최오길, 강릉대학교, [2001]
-
10.
- 천마내생 균주 Penicillium sp. GE1-M5의 이차대사산물 = Secondary metabolites of the endophytic fungal strain, Penicillium sp. GE1-M5, of Gastrodia elata
- 박웅비, 강릉원주대학교, [201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