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서비스 대상자가 본 작업치료사의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환자만족 및 재활동기의 상관관계 = Occupational Therapists’ Interpersonal Modes Perceived by Clients, Clients Satisfaction,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
- 최현, 대구대학교, [2015]
-
2.
- 스마트 기기 어플리케이션 적용이 발달장애 아동의 시지각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
- 조성해, 대구대학교, [2015]
-
3.
- 가상현실 프로그램 적용이 뇌졸중 환자의 우울, 재활동기, 작업 참여에 미치는 영향 = The Effect of Virtual-Reality Program on Depression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and Occupational Participation for Stroke Patients.
- 류성현, 대구대학교, [2015]
-
4.
- 작업치료사의 여가활동참여, 직무효능감 및 치료적 소통기술 =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, Job Efficacy, and Therapeutic Communication Skills Among Occupational Therapists
- 류은정,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, [2019]
-
5.
- 집단 미술치료가 난임 여성의 스트레스,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
- 임주현,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, [2015]
-
6.
- 학령전기 아동의 작업의지 인식비교 연구 : 발달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의 주 양육자를 대상으로 = How do parents view of their preschool childrens' motivation for occupation? : a comparison of parents' perception in two groups
- 노민희, 대구대학교, [2019]
-
7.
- 시간사용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작업 참여에 미치는 영향
- 심혜리, 대구대학교, [2017]
-
8.
-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의 주 양육자가 인식하는 역할과 삶의 질 :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= Role Identification and Quality of Life Perceived by Main Fosterers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: Focusing on Jeju Special Self-Governing Province
- 현지영, 대구대학교, [2015]
-
9.
- 아동·청소년을 위한 가정방문 작업치료 서비스 조사 = Home Visit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: a survey study
- 이현정,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, [2025]
-
10.
- 뇌졸중환자의 여가를 활용한 작업적 참여가 불안과 지역사회 참여에 미치는 영향 = Effects of Occupational Engagement Program Using Leisure on Clients’ Anxiety and Community Integration with Stroke Inpatients
- 김지혜, 대구대학교, [2015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