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76건 중 176건 출력
,1/18페이지
-
1.
- 미술비평교육의 실천적 변화 모색을 위한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: 자전적(自傳的) 이해로서의 내러티브 중심으로 = An Inquiry on A Teacher’s Narrative in Pursuit of Practical Change in Art Criticism Education : Focused on Narrative as a Self-Portrait
- 박남정,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[2013]
-
2.
- 초등학생을 위한 미술관교육에서 미디어의 활용방안 연구: 대전시립미술관 사례중심 = A Study on the Utilization Plan of Media in Museum of Art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: Centered on Daejeon Museum of Art Instances
- 김진숙,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[2012]
-
3.
- 공감형성을 중심으로 한 만화표현활동 지도 방안 연구 : 중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= Instruction Plans on comic expressions and activities centered on forming empathy
- 강현정,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4]
-
4.
- 성인에게 초·중등 미술교육 경험이 갖는 의미 분석 =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experience during primary and middle schools as recalled by adults
- 김경무,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[2012]
-
5.
- 메를로-퐁티의 몸 철학을 통한 공교육에서 미술교육의 의미 고찰 = A Study on the Meaning of Art Education in Public School through Merleau-Ponty's Body Philosophy
- 윤정은,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[2012]
-
6.
- 작품의 비교분석을 통한 미술비평지도방안 연구 : 동·서양 회화의 인물표현을 중심으로 = Teaching methods of criticism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work : Focus on painting the portrait of the East and the West
- 이영옥,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[2013]
-
7.
- 생태주의에 기초한 미술과 교육과정의 의미탐색 및 실천적 탐구방안 연구 : 중학교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Exploring the Meaning of Curriculum and Practical Exploration Method at Ecology-Based Art Education : By Focusing on Middle School
- 배현정,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[2013]
-
8.
- 고구려 고분벽화를 활용한 상상표현 지도방안 연구 :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= Studies on the Teaching Method with Goguryeo Tomb Murals for Imaginative Expressions : Targeting students from 4thstandard in Elementary School
- 양효진,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2]
-
9.
- 고려시대 수월관음도에 관한 조형성 연구 = A Study on the Plasticity of the Water-Moon Avalokieshvana in Goryeo Dynasty
- 박영환,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[2012]
-
10.
- 수원화성을 소재로 한 초등미술과 지역화 교수·학습 방안 연구 :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eaching-Learning Methods of Curriculum Localization Based on Suwon Hwaseong in Elementary Art Education : Focusing on 5th Grade Students
- 이수진,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3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