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朝鮮後期 實學派의 茶文化에 관한 硏究 : 利用厚生學派를 中心으로 = A Study on Tea Culture of Positive School in the Later of Chosun Dynasty : Focus on Yi-Yong-Hu-Saeng School
- 노향미,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, [2009]
-
2.
- 實學思想의 形成과 그 學派의 特徵과 影響
- 김종운, 전주대학교, [2001]
-
3.
- 동태 CGE 모형을 이용한 한국의 정부정책 평가 분석 : 조세특례제도, 사회보장정책, R&D 투자 정책을 중심으로 = An Analysis on Evaluation of Government Policy Using Dynamic CGE Model : In terms of Corporate Special Tax Treatment, Social Expenditure Policy and R&D Policy
- 김명규, 청주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4.
- 다산의 교육사상 연구 = A study of Dasan's Educational Thought
- 백승윤,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5]
-
5.
- 실학사상을 기반으로 한 컴퓨터교육과정의 목표 연구 = (A) Research on Goals for Process of Computer Education based on Korean Realism
- 이미란,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7]
-
6.
- 淸代「實學思想」對韓國之影響 : 以十七, 十八世紀爲中心
- 이현, 國立臺灣師範大學, [1988]
-
7.
- 朝鮮朝 後期實學思想에 있어서의 實學槪念에 關한 硏究 = A Study on the concept of Shilhak in the Latter Part of Yi Dynasty
- 梁泰鎬, 忠南大學校, [1982]
-
8.
- 楚亭 朴齊家의 繪畵觀과 創作活動
- 이명지, 홍익대학교 대학원, [2019]
-
9.
- 연암 박지원의 경제사상 : 『한민명전의』를 중심으로
- 양재석,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7]
-
10.
- 北學派의 실용적 審美觀에 관한 연구 = (A) study on the pragmatic aesthetic of‘Bukhakpa’
- 이영화, 韓國産業技術大學校 産業技術·經營大學院, [2006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