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의 인성 함양 실행연구
- 정지혜, 제주대학교, [2020]
-
2.
-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유아문해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
- 양유진, 제주대학교, [2020]
-
3.
- 제주 다혼디배움학교에 관한 역사적 신제도주의 분석
- 홍지환,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3]
-
4.
-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존 듀이의 학교관에 관한 연구 : 『학교와 사회』의 주제분석을 중심으로
- 김혁민,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3]
-
5.
- 담임교사의 감성적 리더십이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
- 박승,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6]
-
6.
- 제주특별자치도 교육행정체제 재구조화 연구 : 델파이 조사방법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restructuring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in Jeju special self-governing province using Delphi technique
- 윤두호, 제주대학교, [2020]
-
7.
- 자기장학을 통한 교사의 수업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: 유치원 자유선택활동을 중심으로
- 오선미,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6]
-
8.
- 농·어촌학교의 새로운 교육행정 운영 방안 탐색적 연구 : 제주 구좌읍 초·중학교를 중심으로 = An Exploratory Study on the New Operation Pla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the Rural Schools : Focusing o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Gujwa-eup, Jeju
- 이보령,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4]
-
9.
- 보육교사의 아동권리존중 실행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
- 박미정,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4]
-
10.
- 선흘 마을교육공동체의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 : 성공요인과 갈등요인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Sunheul Village Education Community : Focusing on Success Factors and Conflict Factors
- 안유경,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