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자동화에 관한 직업이동 간 스킬연관성의 영향 = The effect of skill relatedness on occupational mobility concerning automation
- 이수형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2.
- The reaction of Korean soybean cultivars to salt stress and detection of hyperspectral imagery for salinity effect : 한국 콩품종의 염스트레스반응과 염해 관련 식생지수 분석
- Nazgul Zhomartkyzy Sultan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3.
- Empirical analyses on the evolution of innovation policies : - Evidence from R&D programs in Korea - = 혁신 정책 진화에 관한 실증 연구: 한국 R&D 사업을 중심으로
- 심현섭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4.
- 정량 분석에 기반한 제도의 진화적 패턴 연구 : 전력 부문의 제도 변화 사례를 중심으로 = The study of the evolutionary pattern of institutions based on quantitative analysis: Focusing on the institutional change in the power sector
- 이호윤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5.
- 제품의 모듈성이 기술혁신의 속도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: -행위자기반 시뮬레이션 접근법 = A study on the effect of product modularity on the speed and performan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: Agent-based simulation approach
- 최성준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6.
- 직업의 자동화 대체 위협속에서, 직업내 스킬 발전의 경로의존성 : 한국의 사례연구 = Occupation's skill path dependency under the Occupation's computerization pressure : The case of Korea
- 김인백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7.
- Novel Allele of FAD2-1A in Mutant Line PE529 Produces Elevated Levels of Oleic Acid in Soybean Oil : 돌연변이 계통 PE529의 올레산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FAD2-1A 대립유전자
- 우창완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8.
- 한계 기업의 지속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= An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Zombie Firms' Persistence
- 송진화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9.
- Evaluation of ureide content in the leaves under drought condition in soybean : 가뭄 처리에 따른 콩 잎의 ureide 함량 평가
- Gankui, Francis Yao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10.
- Evaluation of agronomic traits for soybean genotypes with Bentazone treatment : 벤타존 반응이 다른 콩의 벤타존 처리에 의한 농업적 형질 검정
- Barillas, Julio César Paniagua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23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