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5건 중 105건 출력
,1/11페이지
-
1.
- 한국여성연출가들의 작품에 나타난 페미니즘 연극 특성에 관한 연구 : 한태숙의《레이디 맥베스》, 오경숙의《말하는 여자》, 이지나의《버자이너 모놀로그》, 이영란의《자기만의 방》을 중심으로 = A Study upon characteristics of Feminism Theatre in works of Korean female directors
- 이화영, 중앙대학교 대학원, [2005]
-
2.
- 뮤지컬 〈아랑가〉 창작과정 연구 : 음악 작업을 중심으로
- 이한밀, 중앙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3.
- 극장의 형태에 따른 움직임 및 안무 분석 : 대극장 <노트르담 드 파리>, 소극장 <김종욱 찾기>를 중심으로
- 김미수,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, [2018]
-
4.
- 전문 음성 사용자들을 위한 음성 피로 자가 관리 프로그램
- 이정민, 중앙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5.
- 한·중 역사 소재의 창작뮤지컬에 대한 신역사주의적 분석 : 뮤지컬 <광주>와 <가(家)>를 중심으로 = New Historicist Analysis of the Korean and Chinese Original Musicals Based on the Historical Themes - A Comparison between the Musicals “Gwangju” and “Family”(jia)
- 김보연, 중앙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6.
- 성구(聲區 vocal register)의 고찰을 통한 발성 훈련법 연구와 적용 : 뮤지컬 <명성황후>의 '명성황후'를 중심으로
- 최지이,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, [2016]
-
7.
- 오페라의 극적 효과를 위한 뮤지컬 연기테크닉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: 연기를 중심으로 분석한 나탈리 드세이의 광란의 아리아
- 조문경,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, [2018]
-
8.
- 사운드 메커니즘에 따른 뮤지컬 발성변화와 발전에 관한 연구
- 이지연,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, [2017]
-
9.
- 공연예술의 민관협력 체계와 사례연구 : 뮤지컬 <프랑켄슈타인>, <세종, 1446>, <귀환>을 중심으로 = Public-Private Partnership System and Case Study of Performing Arts Focusing on the musicals <Frankenstein>, <Sejong, 1446>, and <The Promise of the day>
- 김선미, 중앙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10.
- Musikalische revue <Linie 1>와 록뮤지컬 <지하철 1호선> 비교 연구 : 문화상호적 관점을 중심으로
- 전성아, 중앙대학교 대학원, [201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