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2009개정고등학교[한국사]의 붕당정치 서술
- 윤상용,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3]
-
2.
- 태종의 선위와 그 정치적 파장 = The Abdications of King Tae-jong
- 이세라,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1]
-
3.
- 7차 중학교 『국사』 교과서와 『살아있는 한국사 교과서』 비교 : 삼국시대를 중심으로 = Comparison of 7th Middle School “Korean History” Textbook and “Living Korean History Textbook”
- 김재형,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7]
-
4.
- 인조대 왕권강화책과 그 한계 = The policy to strengthen royal authority and its limits of the king Injo's reign
- 양선영,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1]
-
5.
- 중학교 국사교육의 향토사학습 지도방안 : 전주 지방을 중심으로 = The teaching method of the Local History in the Korean History Education of Middle School : Focusing on Jeonju Region
- 안형주,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7]
-
6.
- 동학농민전쟁과 고창 = A Study on the Donghak Peasants War in Gochang
- 이세미,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8]
-
7.
- 백제 미륵 신앙의 역사적 추이 = Historical Trends of Mireuk Religion in Baekje Dynasty
- 최선주,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7]
-
8.
- 한국 근대 여성 교육 연구 = A Study on Education for Women in modern Korea
- 신성림,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8]
-
9.
- 일본강점기 기생의 처지와 활동
- 박찬민,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3]
-
10.
- 일본강점기 근우회의 결성과 활동
- 최은오,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3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