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『이반 일리치의 죽음』에 나타난 톨스토이의 죽음철학
- 손정정, 성균관대학교, [2018]
-
2.
- 사르트르 ‘자기기만’에 근거한 성인의식현상 분석 : 「이반 일리치의 죽음」을 중심으로
- 한지희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15]
-
3.
- 톨스토이의 죽음 철학과 문학적 재현 : 「세 죽음(Три Смерти, 1859)」과 「이반 일리치의 죽음(Смерть Ивана Ильича, 1886)」을 중심으로
- 배근호,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5]
-
4.
- 그리스도교 종말론에 비춰본 실존적 죽음 이해의 의의와 한계 : 레프 톨스토이의 『이반 일리치의 죽음』을 중심으로 =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Understanding Existential Death in the light of Christian Eschatology : Focusing on Leo Tolstoy's The Death of Ivan Ilyich
- 류영우, 가톨릭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5.
- 파울로 프레이리와 이반 일리치의 교육 이론 비교 연구
- 공혜경, 연세대학교, [1986]
-
6.
- 일리치의 ‘탈학교화’ 사상에 기초한 학교교육의 혁신 방향
- 오희재,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4]
-
7.
- 일리치의 '학교화' 비판 사상에 근거한 학생평가의 문제와 대안 = Illich's Critical Thought on ‘Schooling’ and Its Implications for Student Evaluation
- 황유미,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0]
-
8.
- 統合敎育理念에 관한 人間科學的 理解를 위하여
- 김영희, 단국대학교, [1996]
-
9.
- 글로벌 이주노동자의 양질의 일자리 구현을 위한 대안적 원리 탐색 = Exploring Alternative Principles for Implementing Decent Work for Global Migrant Workers
- 이영주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10.
- ‘본래성’에서 나타나는 ‘세계’ 단절 문제 연구
- 송재우, 성균관대학교, [201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