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298건 중 1,000건 출력
,1/100페이지
-
1.
- 이강백 희곡의 시간구조 연구 : 「결혼」과 「영월행 일기」를 중심으로 = (A) study on the time structure in Lee Kang Bak's works : specifically in 「Marriage」 and 「Travelling report to Youngwall」
- 김윤미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02]
-
2.
- 국어 교과서 읽기 시간 및 학습 활동 수행의 개인차 연구 : 초등 5학년 국어 교과서 정보적 글 읽기를 중심으로
- 장유진, 경인교육대학교, [2020]
-
3.
- Michel Butor의 L'emploi du temps에 나타난 시간 분석
- 김인희, 전남대학교, [1994]
-
4.
- 영미문학텍스트를 이용한 시간통제 반복읽기활동이 고등학생의 읽기 유창성에 미치는 영향
- 류정하, 한국교원대학교, [2012]
-
5.
- 한국어 다중 부사 구문의 실시간 처리에 나타나는 어순선호도 = Word order preference in the on-line processing of multiple adverbial constructions of Korean
- 유제욱, 건국대학교 대학원, [2019]
-
6.
- 숏폼 속성이 몰입 및 장시간 시청에 미치는 영향 : 몰입의 매개효과와 추천시스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
- 김성원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7.
- 『황무지』의 파편과 발터 벤야민의 지금시간 : 진보의 중단을 향하여
- 조연지,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, [2017]
-
8.
- 너를 읽는 순간
- 응웬 녹 부,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3]
-
9.
- 우리글 읽기에서 나타나는 고정시간 분포에 대한 확산모형 분석
- 주혜리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15]
-
10.
- 팝업책과 일반평면책에 대한 유아의 읽기시간, 흥미, 반응, 이해, 회상의 비교 = Young children’s reading time, interests, responsiveness, comprehension, and recall to the pop-up books and regular picture books.
- 이지혜,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4]